건설넷 입찰 정보..

이전으로 앞으로 목록으로
 * 공공기관 ESS 보급사업 7개사 선정

공공 부문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적용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정부 시범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에너지관리공단은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연구원 등을 비롯한 7개 기관을 ‘공공기관 ESS 시범보급사업’의 사업자로 최종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착수 회의는 내달 초 열린다.

김의경 에너지관리공단 효율표준화센터장은 “지난달 24일까지 사업자 모집을 진행한 결과 총 11개 기관이 접수했다”며 “심사를 거쳐 적격 판정을 받은 8개 기관 중 7개 기관을 최종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시범 보급사업에 사업계획서를 낸 곳은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명동정동극장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메트로 ▲국립중앙의료원 등 총 11개 기관이다.

서류심사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은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메트로 ▲국립중앙의료원 외에 나머지 8곳이 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여수광양항만공사를 제외한 7개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선정된 7개 사업자가 구축할 ESS는 총 2.5MW 규모다.

이번 사업은 공공기관이 주관기관이 되어 ESS제조사, EMS개발사,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등 분야별 기술을 보유한 ESS사업자와 컨소시엄을 이루도록 했다.

한전은 이번 사업에서 한전KDN을 대표기업으로, PCS공급사로는 세방전기를 선정하고 380kWh의 ESS를 설치할 계획이다. 전기연구원은 중소 배터리업체인 코캄을 대표기업으로, 우진산전을 PCS 공급사로 선정하고 250kWh 규모의 ESS를 구축한다.

사업 규모는 에너지기술연구원과 지역난방공사가 가장 크다.

두 기관은 올해 말까지 본사 사옥에 각각 500kWh의 ESS를 설치해 피크저감과 전력비용 절감에 활용할 계획이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은 GS네오텍을, 지역난방공사는 에코시안을 대표사업자로 내세워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김 센터장은 “이번 사업은 ‘보급’보다 ‘성과 분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다음 달 초 착수회의를 열고 각 기관별로 본격적인 ESS 구축에 돌입하면, 다양한 부하패턴별로 데이터를 수집해 공공기관 ESS구축의 정확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과 분석을 거쳐 국가적인 피크전력 저감에 효과가 미미하다고 판단되면 사업에서 제외시킬 예정”이라며 “개별 기관의 전력비용 적감을 국가 보조금 사업으로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올해 정부 ESS 보급사업 예산은 165억원으로 총 11MW규모다. 이 중 9MW는 민간모급으로 스마트그리드사업단에서 수행하며, 나머지 2MW는 에너지관리공단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시범보급한다.
이전으로 앞으로 목록으로

Home | 회사소개 | 제휴안내 | 광고안내 | 문의하기 | 사이트맵
Copyright ⓒ 2001~2004. 아이건설넷정보. All rights reserved. If you have any question, please contact Webmaster.
사업자등록번호 : 305-81-40342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화동 289-1  ☏. 042)670-8060~1, Fax. 042)670-8062
    * 아이건설넷 사이트의 모든 내용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과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시행령에 의해서 보호를 받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