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s/news_m_05.gif) |
*
해외사업 한전·발전사 간 ‘온도차’ 심각
|
협력과 관련해 한전과 발전사간 입장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은 지난 2월 28일 열린 전력그룹사 사장단 회의에서 한전과 전력그룹사 각 사별로 추진하고 있는 해외사업에 대해 해외사업협의체를 구성해 전력그룹사가 공동으로 대응하자고 주장했다. 한전 측은 또 앞으로 300MW급 이상의 대형 해외사업은 한전이 직접 맡고, 그 이하에 대해서만 발전사들이 추진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발전사들은 기존대로 발전사들 개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부는 한전과 발전사들이 알아서 조율하라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양 측의 팽팽한 기싸움이 예상된다.
◆한전, 중복투자 비효율 제거...신성장동력 창출도 한전은 해외사업협의체 구성과 관련해 표면적으로는 정보교류강화와 해외사업 업무 조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발전5사가 개별적으로 해외사업을 추진하면서 과당경쟁이 벌어지고, 중복투자가 이뤄지고 있어 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게 한전 측 주장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발전사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 해외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한전 경영진의 의지에서 출발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2010년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전력산업 개편안에 따라 발전5사는 기타 공공기관에서 시장형 공기업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발전5사는 한전이 아닌 정부로부터 경영평가를 받게 돼 독립성과 경영 자율성이 강화된 반면, 한전의 영향력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해외 사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그동안은 한전과 발전사가 협력해 해외에 진출하려는 경향이 강했지만, 이제는 발전5사가 수익창출을 위해 개별적으로 해외 진출에 본격 나서고 있다. 그 결과 해외사업이 발전사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반면 한전의 경우 인력은 풍부하지만 국내에서 발전 사업이 법적으로 금지돼 있다 보니 발전소 건설이나 운영 능력이 부족해 해외 진출도 녹록치 않은 게 현실이다.
◆발전사, 시장형 공기업 체제에서는 ‘안 될 말’ 발전사들은 한전이 해외사업협의체를 설립하려는 것과 관련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단순히 정보 교류 차원이라면 몰라도 한전의 주장대로 발전사들이 300MW급 이하의 발전사업만 하라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 발전사 한 관계자는 “해외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으려는 한전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전 사업을 하려면 발전소 건설과 운영 노하우가 중요하다”며 “해외 발전사업 진출에 있어서는 ‘한전(KEPCO)’ 브랜드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국제 입찰의 경우 발전사들이 국내외 굴지의 회사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역량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며 “해외사업은 앞으로 10년이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이미 경쟁력을 확보한 발전사들에 맡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발전사 관계자는 한전 측이 주장하고 있는 과당경쟁과 중복투자 논란과 관련해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발전5사가 진출하려는 지역이 다소 다르다”며 “앞으로 발전회사협력본부 내에 설치한 해외사업협의회를 통해 발전사들의 해외사업 방향을 사전에 조율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
|
|
|